![]() |
|
기독교신학 전공은 1937년 개교당시에 설치되어
![]() 이러한 긴 역사 속에서 배출해온 2,000여명의 졸업생들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다양한 사역을 하면서 큰 흔적을 남기고 있다. 기독교신학은 목회자와 신학자, 그리고 선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성서신학, 이론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분야로 나누어 철저히 교육하고 있으며, 특히 신학이 <교회를 위해 봉사하는 학문>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헌신적 기독교 리더로 세우고자 하는 교회들을 위해 열정적인 일꾼들을 길러내고 있다. 다양한 진로를 개척해 가고 있는 기독교신학 졸업생들은 목회자, 대학교수, 해외선교사, 기독언론기관종사자, 기독교교육 교사, 기독교 NGO 단체 종사자, 사회복지시설 지도자, 병원 원목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
![]() |
교육목표 |
2.국제경쟁을 갖춘 인재 양성
인재상 |
핵심 |
하위역량 |
이수 |
해당교과목 |
비교과 |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
기독교 지식과 신앙 실천하는 지성인 |
나눔과 봉사 |
소명(비전의식), 산업체(교단)비전이해능력, 기독교세계관, 책임(목회)윤리 |
필수 |
|
기독교의태동과발전 |
환원 운동사 |
|
성만찬예배
|
|
실천신학개론 |
|
|
|||||
선택 |
예배학개론 |
이스라엘역사 |
한국 교회사 |
성례전 |
||||
|
시가서 (격년재)
|
목회 학개론 |
|
|||||
|
예언서 (격년재) |
|
|
|||||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 |
선교와 다문화이해 |
이웃사랑 실천, 기독교 문화 역량 이해 능력, 기독교 시민의식 사회 책무 인식 능력, 국제 감각 능력 |
필수 |
|
선교학개론 |
|
|
해외단기선교와 선교사인턴
|
선택 |
스포츠와 선교 |
|
4차산업 혁명시대의 휴먼복지 선교(융) |
|
||||
|
|
선교의 역사 |
|
다원화사회의인문학강좌 |
||||
|
종교 개혁사 (격년재) |
문화인류학, |
|
|||||
기독교적인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
성경과 신학 실무 적용 능력, 성경 및 신학 탐구 능력, 산업체(교회) 목표 이해 능력, 정보처리/보고능력, 기초 외국어 능력 |
필수 |
구약개론 |
조직신학개론 |
고전어Ⅰ (히브리어) |
|
성만찬 모델교육 |
|
신약개론 |
|
|
|
|||||
선택 |
|
고전어Ⅱ (헬라어) |
현대신학 (격년재) |
목회 결연실습 |
||||
|
헬라어 강독 |
기독교 교리사 (격년재) |
||||||
|
|
고전어Ⅰ (히브리어) |
|
|||||
|
|
히브리어 강독 (격년재) |
|
|||||
오경이해 |
IT와 뉴시니어교육프로그램개발 |
서신서 |
기독교 영성문화 교육 |
|||||
복음서이해 |
기독교 컨텐츠 캡스톤 디자인(융) |
설교학 |
주일학교 인턴십 |
|||||
교회와 세계를 섬기며 전문성을 갖춘 봉사인 |
다양한 세대와 계층간에 소통과 화합 |
리더십, 시간 관리 능력, 갈등관리(화합)능력, 언어전달능력, 관계윤리, 공동체소통능력 |
필수 |
|
기독교교육개론 |
|
기독교 윤리학 |
·Power self &Rolationship |
선택 |
|
예배와찬양 |
평신도 교육론 |
행복을만드는방법 |
||||
|
교회의아동교육 |
기독교교육 사 |
|
|||||
|
운동건강과 신앙 |
|
|
|||||
|
성경적리더십 |
|
|